용무가 자재해지려면 > 길을 묻는 이에게

길을 묻는 이에게


길을 묻는 이에게는
큰스님 법문 중에서 발췌하여 답을 올립니다.

건전한 게시판 문화를 위하여 성격에 맞지 않는 게시물, 광고 등 유해성 글들은 관리자가 임의로 이동,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질문을 올리기 전에, 게시된 글들을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용무가 자재해지려면

본문

질문

『도덕경』에 보면 “무위이무불이(無爲而無不爲)”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 뜻은 ‘무위를 실천해 봐라. 그러면 안 되는 일이 없을 것이다.’라는 말이라고 하는데, 그 말씀이 큰스님 법문 중의 “내 내면에 진실하게 맡기면 안 되는 게 없다.” 하신 말씀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이 듭니다. 제가 알기로는 불교뿐만 아니라 수없이 많은 성인들과 선지식들께서도 자신의 내면을 깨달아서 진리를 실천해 나가셨는데, 왜 실천해 나가는 모습에 차이가 나는 것인지요? 그리고 그런 성인들처럼 용무가 자재해지려면 어떻게 수행해 나가야 하는지요?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관리자님의 댓글

관리자 작성일

여러분이 이렇게 한데 모여 앉았다가도 일어서면 다 뿔뿔이 헤어집니다. 헤어졌다 또 모이고 모였다 헤어지고 하는 것은 여러분이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진리가 그러합니다. 그런 거와 같이 예전에 강태공은 곧은 낚시를 넣고 앉았으면서 영계를 다스릴 때에 명령을 해서 다스렸다 합니다. 노자(老子)는 영계를 다스릴 때에 영원한 나의 친구로서 나와 둘 아니게 다스렸다 합니다. 또 제갈공명은 촛불을 켜고 영계를 다스렸다 합니다. 여러분이 생각할 때 어떤 분이 다스린 것이 정이라고 생각합니까?

모든 사람들이 생각할 때 이게 옳다 저게 옳다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이 세상의 물리를 다 파악 못하고 물리가 다 터지지 못한 사람이 그러는 겁니다. 옳다 그르다가 없이 내가 그대로 여여하게 닥치는 대로 생활을 한다면 그처럼 그대로가 없을 텐데 말입니다. 또 모르고서 그대로 한다면 아무리 해 봤자 걸립니다. 내면의 나와 외부의 내가 그렇게 둘이 아니게 할 수 있는 내 내면의 세계를 완전히 파악하고서야 그 모든 것을, 외부의 모든 것을 가늠할 수가 있는 겁니다.

그런 거와 마찬가지로 “야, 명령해서 쓰는 게 옳으냐, 영원한 친구로서 나와 둘이 아니게 쓰는 게 옳으냐, 촛불을 켜 놓고 쓰는 게 옳으냐?” 했을 때 제갈공명은 촛불을 켜 놓고 썼기 때문에, 촛불이 꺼지고 또 켜지고 이게 있기 때문에 그 몸이 조금 더 있다가 갈 것을 그렇게 자유스럽게 못했다, 이런 뜻이 있죠. 그래서 물질로써는 절대로 거기에 눈을 뜨지 말라 하는 거죠. 물론 나의 내면세계의 그 모두를 알고서야, 파악하고서야 이해가 가고 또 가늠하고 또 깨닫고 이러면서 결국은 이거는 이거고 저거는 저거고, 닥치는 대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기의 그 뿌리 말입니다. 노자는 그래서 이렇게 말했답니다. “곧은 낚시를 넣고 아무리 있어 봐라. 네가 명령해서 한다면, 말하자면 군사를 모을 때에 분산되기가 쉽고 또 자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기 일이 아니기 때문에 때로는 해이해질 수도 있다. 그러니 백천만의 군사를 거느릴 수가 없다.” 이런 말을 했답니다. 그러니 노자는 부처님의 뜻을 그만큼…. 그래도 둘이 아니게 생활을 했던 모양입니다. 나도 잘 모릅니다마는 그런 말씀을 했다는 유래가 있기 때문에 내가 오늘 여기서 이런 말을 한 겁니다.

내가 항상 여러분한테 이런 말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보이는 걸로 표현을 한다면, 여러분이 깨 한 알갱이를 심는다면 얼마나 나옵니까? 많이 나오죠? 그런데 그거는 한계가 있습니다. 왜 한계가 있느냐? 시간을 두어야 하고 또는 때를 기다려야 하는 것이 한계입니다. 그러나 마음의 의식이란 것은 찰나찰나 바뀌어서 화할 수가 있으니 한 찰나의 한 생각이, 그 한 생각이 수천수만이 될 수도 있고, 하나도 없을 수도 있고, 하나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이 초월돼서 닥치는 대로 자기가 중용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중용을 한다는 것은 자기 불바퀴를 마음대로 굴릴 수 있고, 법바퀴를 마음대로 굴릴 수 있고 즉, 물바퀴를 마음대로 굴릴 수가 있다 이겁니다.

그것은 왜냐하면 여러분 몸속에 적게 잡아도 십일억이라고 하는 의식이 있다면, 예를 들어서 얘깁니다. 숫자를 어떻게 따지리까마는, 십일억이 넘지만 십일억이라고 대충 잡는다면 만약에 그 십일억 중에 하나가, 그 의식이 깨알처럼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하는 그런 게 없이 수만 개가 됐다가 아니, 억겁의 이 세상 대천세계를 꽉 덮고도 남는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그 하나가 말입니다. 그 십일억 중에 말입니다. 그 많은 것이 다 벌떼 일어나듯 한 생각이 그렇게 많이 일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다 이런 문제입니다.

그러니까 병고도 하나가 일어났다 하면은 수십 개가 일어나고, 만약에 막는 놈은 적고 일어나는 놈은, 해하게 하는 놈은 많아진다면 그 집은 쓰러지는 겁니다. 좀먹는 겁니다. 그와 같이 우리가 만약에 내 마음이, 지키는 마음이, 지켜보는 마음이 만약에 빨갛게 생각을 했다 하면은 이건 전체가 빨개집니다. 노랗게 생각을 했다 하면 전체가 노래지는 것이고. 악으로 나오는 걸 자기가 다스리지 못한다 할 때는 전체 악이 되는 겁니다. 그러니 여러분의 내면세계의 그 살림살이들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그런 여러분이 돼야만이 바깥의 외부의 살림살이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그런 능력이 생긴다 이겁니다.

여러분 몸속에 과거에 살던 그 자체가 쓰지도 않고, 보지도 않고, 묶어 놓지도 않았는데 인연에 따라서 저절로, 자연적으로 입력이 돼서 여러분이 짊어지고 나왔다 이 소립니다. 그러니까 부처님께서 사성제(四聖諦)를 설할 때 고(苦)라는 문제가 제일 첫 번에 나왔던 겁니다. 여러분의 그 마음은 악으로 가게끔 이끌 수도 있고, 선으로 가게끔 이끌 수도 있습니다. 고정됨이 없이 쉴 사이 없이 돌아가는 그 마음이 어떤 거든지 바로 이끌어 나갈 수 있고, 지켜볼 수 있고, 체험할 수 있고, 실험할 수 있고 모든 것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지배인과 같습니다. 그래서 본래자성불이라고 합니다.

본래자성불은 움죽거리지 않으면서도 그 힘을 가하니, 마치 맷돌처럼 물건만 넣으면 저절로 갈아져 나오고 맷돌이 이탈을 안 하고 잘 돌아가는 거와 같다 이겁니다. 비유해서 얘기입니다. 여러분도 그 맷돌과 같으니깐요. 심봉을 꽂지 않은 맷돌은 이탈을 하게 되고 잘 물건이 갈려 나오질 않아서 사는 데 복잡하고 배고프고 춥고, 이런 문제들이 나오면서 한 가정이 파괴 직전에도 갈 수 있고, 또는 화목지도 못하고 이 세상의 모든 것을 넓게 보지도 못하며, 또 그렇게 좁아서 자기 살기도 극히 어렵다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이 아무리 좋은 말씀을 해 놓으셨어도 지금 시대의 여러분이 알아듣지 못하고 감지를 못한다면 좋은 말인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여러분이 먹어 보지 못하고, 맛을 모른다면 그 무슨 소용 있겠습니까?

목록

대한불교조계종 한마음선원(13908) 경기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2Tel. 031-470-3100Fax. 031-470-3116
Copyright (c) 2021 HANMAUM SEONWON. All Rights Reserved.
"이 제작물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글꼴을 사용하여 디자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