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공부의 자세
본문
질문
요즘 유튜브를 통해 대행 스님의 법문을 듣고 있습니다. 인생을 살다 보면 걱정거리들이 끊임없이 올라오는데 모든 걸 주인공에 맡겨 놓는다면 걱정 없이 편안하게 살 수 있을는지요. 그렇다면 마음공부 하는 사람의 마음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요.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우리는 가정에서나 도량에서나 자기 범위 내에서 생각을 하고, 자기 차원에서 생각을 하지 남의 차원에서는 좀체 생각하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고가 벌어지는 거죠. 내가 좀 더 그 도리를 이해를 하고 그쪽 방면으로 한번 서 보는, 잘못됐든지 잘됐든지 내가 서 보는 그런 마음이 돼야 하고 그 마음이 됐다면 남들과 서로 마음과 마음으로 전달을 하게 되는 자비심이 생겨서 가정도 조화를 이루고 또 생활 속에서 조화를 이루죠. 인간이 살아나가는 데, 부부가 만나서 사는 데도 간단하게 생각이 되지마는 사람 사는 게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가다 보면 그것이 너무도 복잡하고 다단합니다.
그러고도 생활에 의해서, 자기 인연에 의해서 천차만별로 자기한테 주어진 대로 생활을 하게 돼 있죠. 장사꾼은 장사를 하고 정치인이면 정치를 하고 말입니다, 뭐든지. 내 몸도 복잡다단하게 생긴 겁니다. 그래서 한쪽이 폐허가 되면 또 한쪽이, 즉 말하자면 공장장이 폐업을 하고 파업을 일으킨다면 몸 전체가 기울어지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몸도 복잡다단하고 모든 생명들이 내 몸 안에 형성이 돼서 한 사람의 선장으로서 마음을 먹게 돼 있으니 얼마나 복잡합니까? 그런 데다가 가정도 그리 쉬운 건 아닙니다. 이 세상에 살아나가는 사회도 복잡다단합니다. 세계는 물론이거니와 우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마음과 마음을 전달한다, 마음과 마음을 서로 주고받는다는 뜻은 우리 마음에 의해서 모든 것이 결부되어야 하는 것을 말하죠. 그래서 우리가 그 마음의 보배를, 우리가 싱그럽게 공부할 수 있는 그 마음을 가질 때는 언제나 나를 세우지 말고 남에 참견하지 말고 주변의 어떠한 문제가 있더라도 남을 탓을 하지 말고 ‘남이 이렇게 해서 이렇다’ 이러지 마세요. 남의 탓이 절대 없습니다.
자기가 모든 것을 놨을 때, 주인공에다 모든 거를 놨을 때는 스스로 돌아갑니다. 자기가 생각한 대로 스스로 돌아갑니다. 완화되고 그것이 아주 스무드하게 돌아가는데, 말로 이게 틀리다 저게 틀리다, 이 사람이 틀리고 저 사람이 틀렸다고 이런다면 공부하는 거는 틀려 버렸고, 또 한 가지는 자기가 생각한 대로 돌아가질 않습니다. 그리고 오히려 말만 벌어져 가지고 싸움만 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공부하는 데 심중 깊이 생각해야 할 점이라고 봅니다. 자기 생각대로 말하고 자기 생각대로 하는 그러한 관습적인 습을 몽땅 떼야 되겠습니다.
우리는 지금 마음의 근본을 가지고 있으니 주변을 둘로 보지도 마시고, 원망하지도 마시고 모든 것을 나로 보세요. 그리고 깨달은 사람이 말하는 거는 깨달은 대로의 법이 될 수 있는데, 이런 게 있습니다. ‘사람을 죽여도 자비다’ 이런 거 말입니다. 왜? 그건 무명을 치고 옷만 벗겼지 사람을 죽인 게 아니다라는 얘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욕을 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욕이 아니라 자비가 될 수도 있거든요. 답답하면 욕을 한마디 해 놓고선 그 사람 마음의 근본을 건지려고 무척 애를 쓰는 그런 자비가 있습니다, 그 속에는.
그런데 남의 속을 하나도 모르면서 자기 생각대로 막 해 버리는 그런 습이, 여러분이 다는 아니겠지만 어떤 때는 그 습관이 나온다고 봅니다. 다른 때는 아무 일도 없다가도 급자기 닥쳤을 때 그게 나오는 겁니다. 그래서 급자기 닥칠 때에 한번 찔러 보면 영락없이 예전의 습 그대로 나오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일체 만법에 의해서 마음의 보배가 쓰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코드라면 큰 거를 쓰려면 큰 코드 하나에, 마음을 먹을 때 ‘나는 모터를 돌리겠다.’ 하고 코드를 꽂으면 모터가 돌아지고 ‘난 냄비에 찌개를 끓이겠다.’ 하고 코드를 꽂으면 찌개가 끓여지는 것이 바로 보배입니다. 이 세상에 우주의 섭리나 이 세계의 섭리나 나라의 섭리나 가정의 섭리나 복잡한 몸의 섭리나 모두 똑같이 행할 수 있는 그 자력이 여러분한테 다 주어져 있기 때문에 “그대로 여여하니 부처니라.”라는 말을 한 것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여러분은 색에 끄달리지, 욕심에 끄달리지, 말에 끄달리지, 나에 끄달리지, 모두 끄달리다 보니깐 아예 그냥 철통같이 막힌 겁니다. 그리고 우리는 항상 마음에 의해서 용을 하고 있으면서도 ‘용을 먼저 하는 것은 사법이고 정법이 아니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정법이든 사법이든 어떤 거를 막론하고 다 놔 버려야 됩니다. 놔 버리고서 자기가 한생각을, 한생각을 하기 이전에 그냥 무심히 생각하면서 무심히 밥 먹고 똥 누고 잠자고 편리하게 살아나가듯이 큰일이든 나쁜 일이든 좋은 일이든 스스로의 자기 한생각에 좋게 돌아올 수 있는, 좋게 해 줄 수 있는 그런 마음이어야 합니다.
그저 오다 가다가도 한생각 좋게 탁 내던질 때도 있고, 오다 가다가도 한생각을 좋게 내 주기 위해서 한번 찔러 볼 수도 있고, 오다 가다가도 한번 말을 푹 찔러서 남의 부아를 훌렁 뒤집어 놨을 때 그 사람의 행동이 어떨까 하는 것도 한번 해 봄으로써 거기에선 한마음의 도리에 큰 공덕이 갈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랬을 때에 속이 뒤집어지지 않으면서도 속이 뒤집어지게 남한테 말을 해 주는 거는 그것도 자비다 이겁니다. 그, 왜? 모르는 사람이 뒤집어지게 한다면 그것은 악으로 돌아가지만 이 도리를 아는 사람이 속을 뒤집어 놓는 거는 그건, 즉 말하자면 그 사람의 뜻을 보기 위해서 그런 것이기 때문에 그건 자비입니다.
그래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남 탓 안 한다. 남을 원망 안 한다. 남을 증오 안 한다. 남의 말에 끄달려서 돌아가지 않는다. 남의 참견을 안 한다. 모든 것은 안으로 굴린다. 참견을 안 하되 참견을 할 수 있는 거는, 내 앞에 닥친 참견은 해야지요. 이 도량에서도 만약에 뭐가 잘못 돌아간다 이럴 때는 자기 생각에, 주인공에 맡겨 놓고 돌아가게 해야지, 이걸 말로 발설을 하고 이 사람이 어떻고 저 사람이 어떻고 이런다면 일이 하나도 해결이 안 돼요. 오히려 바깥으로 더 커지죠.
이런 건 다 놔 버리고 자기한테만 오로지, 자기 주인공한테만 맡겨 놓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자기가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소리를 들었고, 자기가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 하는 걸 봤고, 내가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눈에 거슬린 거지 내가 없이 어떻게 거슬립니까?
그런 거를 놓지 않고서야 어떻게 그 끝없는 옛부터 우리가 가지고 살아온 습을 녹일 수 있으며, 어떻게 내가 그것을 항복을 받을 수 있으며 또 항복을 할 수 있겠습니까? 내가 항복을 받고 내가 항복을 하는 건데, 항복을 받는 사람도 나요, 항복을 하는 사람도 나다 이겁니다. 육신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삼십이상이 구족하다’는 말이 있듯이 그대로 산 부처다 하는 겁니다. 산 보살이다, 산 법신이다 이거예요.
그러니 여러분이 공부하는 데에 조금도 애착이 없이 남의 걱정 하기 이전에 나부터 아시라는 얘깁니다. 그리고 남의 걱정이 있걸랑 내 마음에다가 맡겨 놓으시라는 얘기지 걱정 안 하라는 게 아닙니다. 진짜로 사랑하고 진짜로 자비한 마음이 있걸랑은 안에다가 굴려 놓으십시오. 거기에 맡겨 놓으신다면 오히려 내가 뛰어다니면서 일을 해 주는 것보다 백 곱쟁이 천 곱쟁이 아마 좋은 결과를, 씨를 거둘 겁니다. 그러니 여러분이 가정에서 살면서도 좀 더 사는 데에 괴로움이 없이 사시라고 이러는 겁니다.
그러니 모든 걸 다 놔 버리고, 못났든 잘났든 문이 아니든 문이든 한번 엎드러져 보고 돌아가는 것이, 이것이 큰 경험이며 보배를 크게 이루는 지름길입니다.
- 이전글아버지로서의 마음 23.06.21
- 다음글주인공을 자꾸 놓치게 됩니다 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