맡기는 자와 맡는 자
본문
질문
내 마음이 바로 부처라고 하시는데 그렇다면 내가 본래 부처인데 맡기는 자는 누구고 맡는 자는 누군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맡기는 자도 자기이고 맡는 그 자체도 내가 아닙니까? 제 생각이 틀린지요? 그렇다면 맡기고 자시고 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그렇죠. 자기죠. 그렇지만 그렇게 이론으로 하면 그건 맞지가 않습니다. 그건 이론입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과정에는 언제나 자기가 자기한테 놓는 과정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자기 아닌 자기를 자기가 다스리면서 거기 모든 것을 믿고 놔야 ‘놓는 놈은 누구고 맡겨서 받는 놈은 누구냐?’ 하고 비로소 진정한 궁금즘이 나오는 겁니다. 그게 알아져야 됩니다. 그러니까 전생과 후생이 한데 합쳐서, 즉 말하자면 부와 자가 둘이 아님이 됐을 때에 비로소 그때는 뭐 맡길 것도 없고 안 맡길 것도 없겠죠.
그러니까 그런 이론으로 다 아시더라도 작업을 해 보셔야 됩니다. 그런 거를 다 아시기만 하고 실천을 할 수 없다면 아는 게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그러니까 이론으로는 다 아는데 실천을 할 수가 없지 않습니까? 그걸 너무 미리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실천이 안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그냥 믿으면 되는데 이게 뭘까 저게 뭘까 하고 사단을 붙여서 그러지 마시고 그냥 믿을 수 있어야 합니다.
진짜로 믿을 수 있어야 ‘그게 어디서 나오는 건가? 다 알고 있는 거 모르고 있는 거, 또 실천을 하는 거 안 하는 거, 그것이 다 한군데서 나오는데 어디서 나오는가?’ 그걸 추구하면서 그것을, 자기 참(眞)을 한번 발견해라 이거죠. 그럼으로써 무의 세계의 길잡이가 되는 거죠, 그게. 참자기가 무의 세계의 길잡이가 되는 겁니다. 그래서 학술적으로 공부를 많이 한 분들도 그렇고 이것저것 생각이 많으신 분들이 실천을 할 수가 없는 거예요. 왜냐. 이론적으로 이미 너무 잘 알기 때문입니다. 너무 잘 아는 게 오히려 딱 막혀 버리는 거죠. 그래서 그게 병이라고 하는 겁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바로 이 자리에 계신데도 여러분이 눈이 없어 못 보는 겁니다. 고깃덩어리만 보지 마시고 형상만 보지 마세요. 여러분이 계신 데에 부처님은 항상 계신데도 여러분의 올바른 눈이 없어서 못 보고 귀가 없어서 듣지 못합니다. 이렇게 일러 줘도 모르는데 어떡합니까? 아는 게 너무 많아서 일러줘도 모른다면 어찌합니까? 외려 부처님 꼭대기 올라가 앉아 있는 걸 어떡합니까? 그래서 ‘알아도 한 번 더 두드려 보고 가거라.’ 이런 말이 있죠. 알아도 한 번 더 두드리고 가고 또는 아무리 튼튼해도 한 번 더 두드리고 건너라 이런 말입니다. 작은 것이라도 스스로 체험을 해보고 그 맛을 느껴야 하는 겁니다.
- 이전글몽땅 놓으려면 21.10.25
- 다음글꿈에서는 맡겨지지 않는데 21.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