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을 지내는 뜻이 무엇인지요
본문
질문
불교에서는 백종이 큰 명절 중의 하나로 돌아가신 조상들의 영혼을 건지고자 백종날 천도재 의식을 지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바르게 알고 있는 것인지요.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그런데 말입니다, 그 영혼 자체가 바로 육신과 둘이 아닙니다. 이 육신과 영혼이 있는 데다가 그 불씨 에너지, 원소 자체가 있어서, 즉 작용할 수 있도록 마음을 내 주게 하는 겁니다. 이 영혼이라는 그 자체가 마음속에서 다 나오는 겁니다. 그래서 마음을 신이라고도 하고, 악신이라고도 하고 선신이라고도 하죠, 마음을요. 마음을 잘 쓰면 바로 선신이요, 마음을 악하게 쓰면은 악신이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영혼도 악신으로서 삶을 악하게 살았으면 아주 악의적인 영혼이 되고요, 선의적으로 지혜롭게 대치를 해 나가고 마음을 넓게 잘 쓴 사람들의 마음은 악신이 아니라 선신으로서 구별이 되죠.
그러니까 지금 마음 한군데서, 이 영혼이 악신도 나오고 선신도 나옵니다. 영혼 자체가 자기 근본은 아닙니다. 영혼은 악신이 될 수도 있고 선신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영혼은 그냥 이름일 뿐입니다, 영혼이라는 이름. 마음을 잘 쓰는 데서 나오는 선신도 영혼이요, 악신도 또 영혼이다 이거죠. 그러니까 영혼이라는 그 자체는 바로 자기 마음 씀씀이에 따라서 나오는 결과입니다.
그래서 옛날에는 남녀노소 할 거 없이 돌아가시면 재를 곱게 쳐서 이렇게 놓습니다. 그러면 거기에, 인도환생을 했으면 발자국이 나타난다거나, 독사가 됐으면 독사 흔적이 나온다든가 이런 게 있습니다. 그리고 아주 악행을 한 혼백이라면, 귀신이 머리를 풀어서 산발을 한 모양도 나옵니다. 그러니까 그러한 모양을 보더라도 그렇고, 영혼이라는 것은 우리의 불씨가 아니라, 그 마음을 내 주는 반면에 마음속에서 나와서 행동하는 거죠. 거기서 나오는 거를 영혼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영혼의 업식’ 이러죠. 사람이 죽으면 아무것도 가져가지 못하지만 영혼의 업식은 따라간다구요. 자기의 불씨는 항상 밝아서 여여한데 그 업식, 영혼이 그냥 얼기설기 얽혀 가지고 업식이 돼서 현실에 나온다 이런 말입니다.
그러니까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악신도 되고 선신도 된다는 얘기죠. 악신으로서 너무 악하게 했다면 진짜 악신으로 활동을 할 거고, 선신으로서 행했다면 선신으로 활동을 할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공부시키는 거는 악신이고 선신이고 몽땅, 악신이 나오면 악신인 대로 거기다 놓고 선신이 나오면 선신이 나오는 대로 감사하게 거기 놓고 이렇게 하라는 얘깁니다. 업식이 다 이 몸속에 들어 있으니까 악신으로서 악행을 하게끔 이 마음속에서 나오거든요.
그래서 악신으로서 행이 나올 때는 ‘어, 이것도 네가 저지른 일이니까 네가 알아서 해.’ 하고 거기다 놓고 ‘이것도 공부고 재료지.’ 하고 거기다 놓고요, 또 잘되고 싱그러운 일이 생기면 ‘이것도 감사하구나.’ 하고 감사하게 거기다가 맡겨 놓고요. ‘참 감사하구나.’ 하는 생각만 해도 맡겨지는 거죠. 그러니까 지금 현재 마음을 그렇게 먹었으면 죽어서도 영혼이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영혼을 건지고자 백종을 마련해 놓았고 칠석을 해 놨죠. 그런데 이런 게 있죠. 사람이 죽으면 악행을 했든지 선행을 했든지 간에 그 모든 문서를 그냥 해결해 버리고 불씨를, 그냥 여러분이 땅을 갈아서 돌을 주워 내버리고 골라 놓는다면 이 스님네들은 씨를 거기다가 심어 주는 겁니다. 백종이 그 역할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이 정성껏 부모, 조상 영가들을 써 가지고 오시면 그게 밭을 갈고 밭을 고르는 거나 같은 거죠. 봉투에다가 모두 이렇게 정성껏 해 가지고 오시는 건 그러한 작업입니다. 그러면 이쪽에서는 그 밭에다가 불씨를 심어 주는 겁니다. 그러면 그때는 인도환생을 해서 싹이 나죠. 싹이 나는 것이 인도환생을 하는 거니까. 그래서 인도환생하는 것도 그 자손들이 얼마나 정성껏 잘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서 부잣집으로 태어나느냐 가난한 집으로 태어나느냐 하는 것도 있죠. 또 깡통의 차원이라서 깡통끼리 태어나게 하느냐, 하하하, 선신이라서 선신끼리 태어나게 하느냐? 가족의 모든 것도 그러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이렇게 살아 있을 때는 배우면서 지혜롭게 넘어설 수 있고 업을 면제할 수도 있죠. 그리고 잘 생각하고 계속 지극하게 수행해서 자기 무명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죽으면 더하고 덜함도 없기 때문에, 그게 새로이 의복을 다시 갈아입고 나오는 때라 교차로가 되거든요. 교차로에서는 어떻게 자기가 더 배우고 나갈 수가 없어요. 그러니까 더하고 덜함이 없죠. 이 몸, 모습이 없으니까 부딪침이 없고, 부딪침이 없으니까 상대가 없고, 상대가 없으니까 배울 게 없고 그런 거죠. 그래서 살아 있을 때 꼭 이 도리를 배워야 된다는 얘깁니다.
그런데 우리가 마음을 제대로 쓰지 못하면요, 이 정신세계의 마음을 못 배우면요, 영혼이 죽어서 말입니다, 아휴, 자기 몸체가 있는 줄 알아요. 옷을 벗었어도 벗은 걸로 알지 못한다니까요. 그래 가지고 물에 빠져 죽을까 봐 못 가고, 불에 타 죽을까 봐 못 가고, 또 귀신들 많고 짐승들이 많은 데는 잡아먹힐까 봐 못 가고, 이렇게 넘어서질 못하는 거죠. 그래서 기독교에서는 “요단강 건너가 만나리.” 했고, 부처님께서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저 언덕을 넘어서야 하느니라.” 하셨는데, 이 도리를 알고 보면 언덕을 넘어갈 것도 넘어올 것도 없단 얘기죠. 그 도리를 알면 산 부처죠, 산 법신이구요. 가만히 있으면 산 부처고 생각을 냈다 하면 법신이고 몸을 움죽거렸다 하면 화신이에요, 그냥요.
- 이전글인성 교육에 문제가 있을까요 23.09.20
- 다음글창살 없는 감옥에서 벗어나려면 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