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법문 13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한마음선원
메인메뉴
한마음선원
선원소개
연혁
현황
개원과 역사
도량 둘러보기
선원의 조직과 단체
영탑공원
한마음선원 TI
오시는 길
법회 · 신행
법회 일정
정기법회
특별법회
신행회
신행단체
대행선사
생애관
갤러리
친견실
추모관
법문
불자의 기본교리
불자의 기본예절
독송과 선법가
법문검색
E-Book 법문집
미디어 법문
법문공유
법문집 소개
한마음 미디어
연등축제
한마음 합창제
국내외 지원 활동
마음꽃이 피었습니다
스페셜 영상
한마음 저널
마음꽃
예화
신행담
한마음 채널
유튜브
홈페이지
SNS
게시판
공지
뉴스
통합공지
통합뉴스
WorldWide
로그인
회원가입
HOME
법문
미디어 법문
주제법문영상
주제법문
한마음선원
법회 · 신행
대행선사
법문
한마음 미디어
한마음 채널
게시판
불자의 기본교리
불자의 기본예절
독송과 선법가
법문검색
E-Book 법문집
미디어 법문
법문공유
법문집 소개
주제법문영상
한마음의 길
삶은 고가 아니다
주제법문
영상법문
수행법의 요체
주제법문
주제법문영상
한마음의 길
삶은 고가 아니다
주제법문
영상법문
수행법의 요체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Total 195건
13 페이지
51
주제법문-51_1995년 2월 5일
뿌리를 알면 가지 잎새는 저절로 알아집니다
질문: 저희들이 『한마음 요전』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초발심자들에게 좀 논지가 다를 부분이 있어서 오늘 큰스님께 여쭈어 볼까 합니다. 한마음 요전』 원리편에 ‘불성은 영과 다르다. 영은 보이지 않는 모습을 말하는 것이며, 모습 없는 마음을 말하는 것이다. 영혼은 각자 생각 내는 그릇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나 불성은 더함도 덜함도 없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돌아간다.' 그런데이 초발심자들은 '불성은 영과 다르다. 영은 보이지 않는 모습을 말하는 것이며' 한 이 부분에 '모습 없는 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좀 헷갈리는 부분이 ..
전체보기
50
주제법문-50_1997년 1월 19일
잘났든 못났든 나를 먼저 믿어야
우리가 공부하는 도리는 시공도 없고 공간도 없고 모든 게 다 없지만 우리 사람들이 살려니까 시간도 만들어 놓고 또 일 년, 해우년도 만들어 놓고 몇 해니 몇 해니 하고 나가는데, 그거를 질서를 지키기 이전에 그냥 순서대로 살아나가기 위해서 방편으로 여러분들이 해놓고 살고 계십니다. 그러나 우리가 한편 더 생각해 볼 때는 이 마음이 아니라면 몸이 움죽거리지 않는다는 거 여러분들이 더 잘 아시리라고 믿고, 자기의 그 마음의 영혼이 빠지면 송장이 된다는 것도 잘 아실 거고. 그러니까 옛날에 부처님께서도 그랬고 ..
전체보기
49
주제법문-49_1997년 1월 19일
그냥 그대로 무조건 믿어라
질문: 제가 공부해 온 과정이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나왔습니다. 저는 언제 어느 때나 항상, 앉으나 서나 길을 가거나 일을 하거나, 껌을 하나 씹더라도 커피를 한 잔 먹더라도 항상 관하고 가는 걸 놓치지 않고 가고 있습니다. 그게 맞는 건지 모르겠고요. 그리고 저는 오래 전부터 항상 스스로 제 마음자리를 계속 지켜보면서 가는데 이게 자동으로 그냥 그렇게, 의식적일 때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항상 스스로 지켜보고 가거든요. 가면은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고 평온한데 그런데 또 제가 일을 할 때나 길을 걷거나 집에 앉았거나 항상, 이것도 ..
전체보기
48
주제법문-48_1996년 7월 21일
안달복달하지 말고 지혜롭게 믿고 맡기세요
질문: 오늘 드릴 말씀은 제가 하다하다가 안돼서 큰스님한테 마음 한번 내주십사 드리는 말씀입니다. 제 아들이 고 이학년때 시작해 가지고 지금까지, 인제 나이가 서른 여덟이거든요. 처음에는 오만 행위를 다 하고 이건 정신병까지 몰고 갔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정상으로 바로 잡은 지가 한 삼 년 됐거든요. 지금은 인제 이 공부를 하다 보니 너무 감사한 생각이 들고 ‘너무 감사하다. 유학까지 보내도 내 아들만한 효자가 없을 거다.’ 하는 감이 들도록 지금 하고 있거든요. 하고 있는데 문제는 인제 제 삶의 길을 찾아야 되는데 그 길을 스님께..
전체보기
47
주제법문-47_1995년 8월 20
주인공 이름만 찾고 계신가요
질문: 저는 정신이 안정치가 않아서 큰스님의 지도를 받을까 싶어서 몇 말씀 드릴까 합니다. 열이 항상 위로 상기하면서 지난, 그러니까 94년 연초에 열이 상승하기에 침을 맞았더니 역기가 돼 가지고 아주 심한 고통을 받고 있는 중입니다. 그래서 그 이후에 역기가 된 이후로부터는 시력이 차차 떨어지고, 또 집중력과 포착력이 없어지면서 기억력도 없어지고, 지금 이 시점에는 저가 연초부터, 95년 1월부터 한마음선원 공부를 하면서 계속 큰스님의 여러 가지 가르침을 이렇게 관(觀)하고 관하고 또 했는데도, 공념이 머리에 항상 떠오르기 시작해..
전체보기
46
주제법문-46_1995년 2월 19일
마음의 촛불재
우리가 왜 촛불재를 그렇게 하느냐? 귀중하게 해야 되느냐. 이 마음의 촛불재를 하는 것이 방편으로서의 그 마음과 더불어, 즉 자신과, '자(自)'는 이 몸이 되고 '신(神)'은 자기 불성(佛性)이 되는 겁니다. 이게 자·신이 다 둘 아니듯이 촛불재를 하는 것도 마음에 없으면 그 촛불을 들 수가 없습니다. 들질 않게 되죠. 마음에 있으니까 촛불재를 하는 겁니다. 그 촛불이라는 것은, 우리가 세상이 가설이 돼있다고 항상 얘기하죠? 가설이 돼 있기 때문에 한 가정에 내 자식이다 내 부모다 이렇게 알고 있는 사람은 다 가설이 된 겁니다, ..
전체보기
45
주제법문-45_2001년1월 7일
내일을 대비하는 마음가짐
질문: 큰스님께서 “내일을 걱정하지 마라. 내일 일은 내일 닥쳐서 그때 하면 되고 오늘, 지금 일에 충실하고 열심히 살아라.” 하고 법문을 하셨습니다. 그런데 우리 속담에 유비무환이란 말이 있습니다. 항상 미리 준비함으로 해서 화를 면한다는 뜻인데요. 예를 들어서 앞으로 닥쳐올 재난에 대해서 훈련도 하고 또 집도 짓고 성벽도 쌓고 그래서 외부의 침범에 대비를 해야 되고 고난에 대비를 해야 되고 또 어려웠을 때에 대한 대비를 해야 되고. 그렇다면은 앞으로 다가올 것에 대한 걱정을 함으로 해서 이런 것들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이..
전체보기
44
주제법문-44_1994년 11월 20일
‘참 나’와 ‘가아’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질문:저는 오늘 큰스님을 처음 뵙습니다. 그렇지만 큰스님께서 설법하신 책을 보고 수행한 지는 한 10년이 넘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수행하면서 제 마음에 너무 닿는 것 같아서 진짜 목마른 자가 물을 찾듯이 열심히 했습니다. 지금 와서 돌이켜 보니까 그건 또 새로운 나의 하나의 탐심이 아니었던가. 오히려 놓고 맡긴다는 게 하나의 끊고 뭐를 얻으려는 그런 마음이 더 생긴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잘못됐다는 걸 느끼는데 지금 이렇게 돌이켜 볼 때 내가 찾아야 될 '참 나' 와 맡기고 놓아야 될 '가아(假我)' 이게 차이가 ..
전체보기
43
주제법문-43_2000년 12월 3일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 놔라
오늘은 한자리한 분들이 모두 청년분들일세. 그러고 너무 정성스럽게 마음을 담아다 줘서 감사해요. 그러고 여기뿐만 아니라 다른 데 강당에 앉아 계셔도 모두가 한자리라는 거를 아셔야 합니다. 청년분들이니까 더더욱 우리가 생각을 깊이 해야 사는 세상이기 때문에 좀 깊이…, 우리가 평상시에 어렵지 않게 살면서도 한번 뒤집는 그런 거를 한번 생각해 봐요. 뭘 가지고 뒤집는다고 그러느냐 하면 항상 얘기하죠. ‘이건 잘못될 거다’ 이렇게 생각할 때에 ‘이건 잘될 거다’ 하고 뒤집는 거 말이야. 그걸 번연히 잘못된 걸 알면서도 ‘잘될 거다’ 하고..
전체보기
42
주제법문-42_1999년 9월 5일
믿는만큼 없어지는 도리
질문: 저희 선원뿐 아니라 대개 불법을 찾는 사람 가운데 극히 상근기 몇 분을 빼놓고 육신의 괴로움이라든지 혹은 가난이라든지 혹은 다른 정신적인 괴로움 때문에 불법을 구한다고 생각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자기가 어떤 병에 걸렸을 적에 우리 선원에도 그런 분들이 더러 있습니다. 대부분은 그 병만 나으려고, 그 병만 어떻게 좀 해결을 하려고 그런 경향이 많다고 보여집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스님의 일련의 가르침을 이렇게 놓고 생각을 해보면, 어떤 질병이 생겼건 다른 어떤 괴로움이 생겼건 간에 눈앞에 닥..
전체보기
41
주제법문-41_1994년 10월 23일
안되는 게 없다면 배울 수가 없어요
질문: 제가 청년대법회 이번에 세 번째 올라오게 됐는데요. 2회 때부터 세 번째 올라오는데 큰스님의 가르침으로 조금씩은, 이 법회 자리에 앉을 때 마음이 달라진 것을 보고서도 그것만 봐도 상당히 감사합니다. 그리고 저 개인적으로 큰스님 이렇게 가깝게 뵙게 돼서 무척 기쁘고요. 저희 가문에 영광인 거 같습니다. (대중 웃음) 그리고 항상 이렇게 일러 주시고 이런 자리가 있어서 모두가 다 같은 마음일 거 같습니다. 너무 감사드리고 뭐라고 표현할 말이 없습니다. 큰스님께서 그렇게 고구정녕 일러 주시는데도 제대로..
전체보기
40
주제법문-40_1996년 6월 2일
찰나찰나 회향
질문: 회향에 대해서 말씀 올리고자 합니다. 저희들이 좋은 일이 있고, 감사한 일이 있으면 회향을 잘합니다. 그런데 실지로 막상 고난과 액난이 닥쳤을 때에는 당황하게 되고 어쩔 줄을 모르는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제 생각에는 어차피 겪어야 될, 원해서 온 거는 아니지마는 어찌됐든 그 고난이나 액난이 왔을 때에는 '그것이 바로 공부의 재료고 스승이다. 스승님이 나를 가르쳐주러 오셨다.' 하는 그러한 생각을 내어서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오히려 그 경계가 하나의 회향할 수 있는 여지가 있지 않겠느냐. 그래서 회향은 좋고 감사할 때만 ..
전체보기
처음
이전
11
페이지
12
페이지
열린
13
페이지
14
페이지
15
페이지
16
페이지
17
페이지
맨끝
대한불교조계종 한마음선원
(13908) 경기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2
Tel. 031-470-3100
Fax. 031-470-3116
Copyright (c) 2021
HANMAUM SEONWON
. All Rights Reserved.
"이 제작물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글꼴을 사용하여 디자인 되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