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법문 7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한마음선원
메인메뉴
한마음선원
선원소개
연혁
현황
개원과 역사
도량 둘러보기
선원의 조직과 단체
영탑공원
한마음선원 TI
오시는 길
법회 · 신행
법회 일정
정기법회
특별법회
신행회
신행단체
대행선사
생애관
갤러리
친견실
추모관
법문
불자의 기본교리
불자의 기본예절
독송과 선법가
법문검색
E-Book 법문집
미디어 법문
법문공유
법문집 소개
한마음 미디어
연등축제
한마음 합창제
국내외 지원 활동
마음꽃이 피었습니다
스페셜 영상
한마음 저널
마음꽃
예화
신행담
한마음 채널
유튜브
홈페이지
SNS
게시판
공지
뉴스
통합공지
통합뉴스
WorldWide
로그인
회원가입
HOME
법문
미디어 법문
주제법문영상
주제법문
한마음선원
법회 · 신행
대행선사
법문
한마음 미디어
한마음 채널
게시판
불자의 기본교리
불자의 기본예절
독송과 선법가
법문검색
E-Book 법문집
미디어 법문
법문공유
법문집 소개
주제법문영상
한마음의 길
삶은 고가 아니다
주제법문
영상법문
수행법의 요체
주제법문
주제법문영상
한마음의 길
삶은 고가 아니다
주제법문
영상법문
수행법의 요체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Total 194건
7 페이지
122
주제법문-122_1991년 5월 5일
이심전심으로 이끌어가는 가정
질문: 스님! 스님도 못났고 저희들도 못났다 그래서 못난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삭제) 큰스님께서는 저희들을 공부시키면서 몰락 놓으라는 말씀을 자주 하십니다. 때로는 무조건 맡기라고도 하시고 그런데 그 몰락 놓으라, 무조건 맡긴다는 데 생각이 미치는 그놈하고, 맡기는 놈은 누구이며 맡는 놈은 또 누구냐는 의문이 떠오릅니다. 결국은 맡기는 자와 맡는 자가 모두 내 자신이라는 걸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놓고 맡기는 거기에 아무런 경계가 없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다면 놓는 것도 맡기는 것도 없는 셈이 되는데 큰스님께서는 ‘놓으..
전체보기
121
주제법문-121_1991년 5월 5일
곧바로 들어가는 마음
질문: 오늘은 습(習)에 대해서 여쭙겠습니다. 사람의 마음이 찰나찰나 돌아가기 때문에 습이 붙을 자리도, 업이 붙을 자리도 없다고 말씀하셨는데 우리 중생은 몇억 겁을 거치면서 그 습이 쌓이고 쌓여 그 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통 속에서 살아갑니다. 마음에 체가 없다고 그러는데 체가 없는 마음에 어떻게 습이 붙어가지고 이생에 와서 고통 속에서 살아가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큰스님: 그 얘기 하는데 뭐가 그렇게 깁니까? 첫째는 무조건 ‘네가 있다는 것을 네가 증명하는 거다’ 하고서 관하는 거고, 둘째는 가정살이 돌아..
전체보기
120
주제법문-120_1991년 1월 6일
이유가 붙지 않는 부처님법
질문: “놓고 가라” 이런 말씀을 하셔서 놓고 갔다고 하는데 놔진 것이 아닌 그 상황 있지 않습니까? 큰스님: 아, 이거 보세요. 놔진 것이 아니든 놔진 것이든 그냥 놓고 가는 거거든, 그게. 우리가 되풀이할 필요가 없어. 그냥, 그냥 놓고 지금 가는 건데 지금 과거가 아까도 과거예요, 우리. 정락 스님이 설법할 때도 벌써 과거로 지나간 거예요. 아니, 내가 첫 번에 들어와서 말한 것도 벌써 과거로 흘러간 거죠. 그렇게 빠르게 흘러갑니다. 벌써 오백 년 전으로 흘러갔대도 과언이 아니죠. 그렇게 빠르게 돌아..
전체보기
119
주제법문-119_1991년 4월 7일
참 진리가 나오는 참선
질문:이 마음이라는 것이 큰스님 말씀하신 것처럼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고 참 진리가 자기에 있는 거지, 남이 한 것이 아니고 전부 주인공이 하는 것이라고 이렇게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수행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참선을 해야 되는지, 혹은 깊은 산중에 가서 망상을 떨치기 위해서 시간을 많이 보내야지만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지, 그냥 저희들처럼 이렇게 생활하면서 자꾸 갈구하고 (참나와) 대화하려고 노력하고 실천하고, 어느 쪽이 더 좋은지 큰스님의 말씀을 좀 듣고 싶습니다. 큰스님:사람은 참선을 한다..
전체보기
118
주제법문-118_1991년 2월 3일
자유인이 되는 길
질문자1(男): 큰스님, 제가 질문드리겠습니다. 우리 도량에 오시는 불자님들께서 가장 궁금하게 생각하는 점입니다. 큰스님께서는 불법의 공부 과정을 삼 단계로 가르쳐 주셨는데 첫째는 참나의 발견, 즉 자아의 발견과 완성. 둘째는 모두와 하나가 되는 것, 즉 전체 속에 자기가 있음을 셋째는 이런 수행을 거쳐 보살도를 완성해야 하는 것이라고 가르쳐 주셨습니다만 우둔한 저희들은 아직까지 미혹한 가운데 있습니다. 차제에 이 삼 단계의 공부 과정에 대하여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큰스님: 여러분들한테 ..
전체보기
117
주제법문-117_1990년 8월 25일
부처와 중생 일체가 포괄된 주인공
질문:이 마음이라는 것이 큰스님 말씀하신 것처럼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고 참 진리가 자기에 있는 거지, 남이 한 것이 아니고 전부 주인공이 하는 것이라고 이렇게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수행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참선을 해야 되는지, 혹은 깊은 산중에 가서 망상을 떨치기 위해서 시간을 많이 보내야지만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지, 그냥 저희들처럼 이렇게 생활하면서 자꾸 갈구하고 (참나와) 대화하려고 노력하고 실천하고, 어느 쪽이 더 좋은지 큰스님의 말씀을 좀 듣고 싶습니다. 큰스님:사람은 참선을 ..
전체보기
116
주제법문-116_1996년 11월 3일
지구 보존
말끝마다 왜 저렇게 주인공, 마음을 찾으라고 간곡히 그러는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산 사람이나 죽은 사람이나 다 함께 한마음으로 지구를 보존해야 우리가 살 수 있으니까 말입니다. 지원을 내는 것도, 각 처에 손닿는 데는 다 이렇게 내는 것은 거기 지역의 역사적으로 죽은 모든 사람들, 모든 갇혀 있는 사람들(영혼들) 이런 사람들 다 문을 열어서 한마음으로 귀정 지으려고, 또 산 사람도 역시 그렇게 하는 겁니다.그렇게 되는 과정 중에 우리가 주인공을 찾다 보면 거기에 모든 것이 통신이 됩니다. 그러나 물질계로만..
전체보기
115
주제법문-115_1987년 5월 3일
그릇을 탕탕 비우는 공부
질문: 근래에 보면 신문에도 많이 나오는데, 대개 큰스님들도 많이 그러시고 마음을 비우라는 소리를 많이 합니다, 마음을 비우라고. 또 우리 요즘 정치하는 사람들 보면 마음을 비우고 들어가자 하는데 사실 마음을 비우자는 것은 욕심을 버리자는 얘긴데 우리 대행 스님의 설법을 들으면 마음을 비울 수가 있는데, 문 밖만 딱 나가서 물질만 딱 보면 마음을 비울 수 없는 상태가 되는데 마음을 비울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말씀 좀 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답변: 여러분이 지금요, 마음을 비우라 하기 이전에 아주 탕탕 ..
전체보기
114
주제법문-114_1986년 8월 12일
참나의 불을 밝히는 칠석
여러분들께서 칠석날이라고 하는 이 자체를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제가 말씀드리는 것이 여러분들한테 이렇게도 들을 수 있고 저렇게도 들을 수 있고, 이날까지 들어오신 걸로 봐서 내 말이 이해가 안 갈지도 모르죠. 그러니 깊이깊이 잘 새겨서 들으시리라고 믿으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염주를 돌려보신 분들이든 안 돌려보신 (분들이든) 염주는 부처님이 계신 술이 있으면 염주알이 똑같이 이렇게 동그랗게 붙어 있습니다. 그런 거와 같이 우린 염주를 돌릴 때 그거 한 번 쥐기가, 얼마나 오랜 세월을 걸리면..
전체보기
113
주제법문-113_1993년 2월 7일
기초를 다지는 공부
질문: 선원에 나오기 전에 몸이 제가 좀 불편해가지고 그 당시 큰스님을 친견을 하고 또 가르침을 받고 또 치료도 받고 해가지고 거의 완치가 되었는데, 한 2년이 경과가 됐는데 그 증세가 다시 나타납니다. 그래서 제가 바른 공부를 못 해가지고 그런 걸로 생각을 하면서도 어떻게 하면 올바른 그 가르침을 받을 수가 있을지…, 미련하다 보니까 해답을 다 주시는데도 또 더 해답을 얻고 싶습니다. 큰스님 좀 가르침 주십시오. 큰스님: 집을 지을 때 기초를 하지요? 집 지을 때 기초요. 그럴 때에 자갈하고 모래하고..
전체보기
112
주제법문-112_1990년 4월 15일
인생은 짧지만 내 근본은 영원하다
질문: 우리는 아무리 비교를 안하려 해도 끊임없이, 아주 희한하게 사람을 비교를 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는 인간의 불행은 서로가 서로를 비교하는 데서 많은 부분이 온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때 우리가 비교에 얼마만큼 자유스러워질 수 있는가? 진정으로 자유스러워질 수 있는가? 스님께서 말씀하신 진정한 자유인, 그게 될 수 있는가 그게 참 의문입니다. 그래서 비교를 벗어나는 방법, 혹은 어떻게 하면 벗어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를 해주십시오. 큰스님: 예, 그러죠. 아까 말씀드릴 때 아까 컴퓨터에 입력..
전체보기
111
주제법문-111_1990년 4월 15일
마음의 싹을 틔우려면
질문: 저는 불교에서 아주 문외한인데요. 제가 알고 있기는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다. 자기 자신을 깨닫는 종교다.” 그런 얘기를 많이 들었거든요. 근데 오늘 스님 말씀 중에서 “자기 자신의 주인공을 믿어라.” 그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 깨닫는다는 것과 자기 자신의 주인공을 믿는 것과는 같은 것인가, 아니면 어떤 연관이 있는가 그런 것을 좀 알고 싶습니다. 큰스님: 예. 그것은 우리가 씨를 심었을 때, 씨가 있는데, 씨를 싹을 틔우지 못할 때 우린 그 싹을 틔우기 위해서 그걸 깨달음이라고 말합니다. 씨는 ..
전체보기
처음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열린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대한불교조계종 한마음선원
(13908) 경기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2
Tel. 031-470-3100
Fax. 031-470-3116
Copyright (c) 2021
HANMAUM SEONWON
. All Rights Reserved.
"이 제작물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글꼴을 사용하여 디자인 되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