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면서 경계해야 할 문제
본문
질문
10년 만에 찾아온 무더위라고 합니다. 바깥 상황도 그렇고 경제적으로도 어렵다 보니 마음이 조금은 나태해지고 내면으로 들어가는 힘이 부족해지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차제에 다시 한 번 마음을 다잡는 계기를 마련하려 하오니 마음 도리를 공부해 나가면서 꼭 이것만은 하지 말아야지 하는 경계의 말씀과 지침이 될 만한 가르침이 있다면 말씀하여 주세요.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공부를 하다 보면 공부라는 게 별다른 게 아니라 우리가 이 세상에 나와서 사는 게 공부라는 것을 알게 될 겁니다. 항상 얘기하지만 생명이 이 세상에 나오면 불(佛)이요, 나와서 세상 돌아가는 걸 배우는 것이 바로 교(敎)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들의 살림살이를 빼놓고 불교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간편하게 생각하세요. 그리고 어렵게 믿지 마시고 간편하게 믿으세요. 내가 움죽거리는 것이 다 공부니까요. 또 움직이면서도 흔들림이 없다면 그것이 바로 참선이고요. 마음을 잔잔하게 가라앉히면 좌선이요, 누워서 하면 그대로 와선이 되고요. 앉든 서든 그대로입니다. 일을 하다가 생각을 하면 행선이 되니, 그대로만 실천을 한다면 일체 행이 그대로 참선입니다.
그래서 이 공부를 하는 사람들은 마음 안으로 들이대야 합니다. 바깥으로 믿는 게 아니라 안으로 들여서 믿고 모든 일거수일투족을 다 거기다가 맡기고, 잘됐으면 ‘감사하구나!’ 하고, 또 잘 안됐으면 ‘안된 것도 거기서 나온 거니까 되게 하는 것도 너 아니야!’ 하고 거기다 놓고, 이렇게 굴려 가면서 하다 보면 말이 자꾸 하고 싶어질 때가 옵니다. 거기서 감응이 되고 그 감응이 이제 좀 지나고 보면 말이 자꾸 하고 싶을 때가 와요. 말이 하고 싶을 때에, 어떠한 말을 해야 하느냐. 남이 물어보면 관(觀)하는 도리만 얘기해 주고 자기가 이만큼 배웠다고 내세우지 말아야 합니다. 또 그 다음에 이것이 옳은 거라고 내세우지 말고 어떤 것이 안됐다고 내세우지도 말라 이겁니다. ‘안됐다 잘됐다, 이게 옳다 그르다, 또 나는 이만큼 했으니까 이만큼 갔다.’ 이런 말은 안 해도 자기가 말하는 거 보면 자기를 내세운 게 되거든요. 여러분은 자기가 없는 도리를 지금 배우는 겁니다.
항상 여러분에게 말씀드리죠. 만약에 바깥으로 끄달리고 자기를 내세우고, 잘됐다 못됐다 이거를 내세우다 보면 공부는 팡이라고요. 제자리를 갈 수가 없어요. 그럭하다 보면 바깥으로 자꾸 끄달리게 되고, 쪼끔쪼끔 가다 보면 자기가 그만 빈집이 되고, 자기 선장은 간 곳이 없죠. 그럭하면 영계성으로 구차한 일들이 벌어지죠. 그래서 단전호흡을 한다고 하면서 바깥으로 몸으로 끄달리다 보니까, 몸도 바깥이거든요, 이게. 물질계거든요. 그래서 바깥으로 끄달리다 보니까 영계가 들려서 야단인 사람도 있고, 정수리로 뜨거운 게 김이 올라와서 귀로 들리고 야단인 사람도 있고, 몸이 떨려서 야단하는 사람도 있고, 몸을 부지를 못하고 그냥 뛰는 사람도 있고, 그래서 가정이 파괴가 되고, 자식들은 이리저리 떠돌게 되고 모두 이렇게 되는 수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 기복으로 믿으면서 바깥으로 자꾸 끄달리고 무슨 무슨 부처님 부르고 이렇게 아주 지극 정성으로 하는 사람이 영계성에 걸리게 되는 겁니다. 이 집 저 집 떠다니고 기웃거리는 그런 영령들이 들어서게 돼 있거든요. 그러니 영령이 들어서는지도 모르고, 자기 몸에 있는 자체도 지금 모르고,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른다면 그냥 아주 간 사람이 되죠. 맛이 간 사람이 돼 버리고 맙니다. 그러면 참, 자기 혼자 그런 것도 뭐하지만 가정이 문제가 되는 겁니다.
그래서 여러분한테 극히 조심하라고 하는 것은, 마음으로 나쁘다 좋다, 밉다 곱다 또는 잘한다 못한다 이런 거를 염두에 두고서 항상 꼬집고 미워하고 ‘저런 거 없어지면 차라리 낫지.’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그러한 말과 생각, 그것이 바로 모두 업이 됩니다. 그러니까 말을 하면 구업이 되고, 마음으로 하면 의업이 됩니다. 이것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그럭하면 안 되죠. 왜냐하면 바깥에서 닥치는 거, 미운 거 고운 거 이러더라도 ‘밉다 곱다’ 하질 말고 안에다가 ‘저 사람이 저렇게 하는 것이, 저 사람이 미운 게 아니니깐 당신만이 해결할 수 있어.’ 하고 거기다 맡기고 부드럽게 말하고, 부드럽게 행동해 줘라 이런 말을 항상 하죠. 그래야만이 업이 녹는다는 얘기죠.
그러신 양반들도 많이 있으리라고 봅니다. 술을 마시고 그러더니 자꾸 관(觀)하고 부드럽게 말해 주고 부드러운 행동을 해 주니까 어느 날 그냥 술도 먹는 게 없어지고 그렇게 가정이 화목하게 돌아가더라구요. 그 마음을 그렇게 밉게, 그냥 말을 악하게 하고 그렇게 되면 점점 더 악은 모아지는 겁니다, 없어지는 게 아니라 말입니다. 그러니 여러분께서 극히 조심을 해야 합니다. 남을 미워하든가 또 자식들도 그렇고 여러 가지로 말입니다. 그러니까 더디고 좀 느리고 이런 거는 있을지언정 그게 없어지지 않는 건 아닙니다. 꼭 없어집니다. 왜냐하면 내가 항상 여러분한테 얘기해 드리듯이 녹음기에 자동 녹음이 됐는데 자동으로 또 거기다 입력을 하면 그 앞서 입력이 없어진다고 했죠. 그러니깐 잘라도 아니 되고 끊어도 아니 됩니다. 업을 끊을래야 칼로 물 베기죠. 그게 안 됩니다. 그러니까 스스로 그렇게 해서 녹이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그리고 또 지금 말씀드리는 거 소홀히 듣지 마십시오. 첫째, 이 공부하는 데에 도로아미타불을 만드는 그런 이치가 있는 것은 잘됐다 못됐다, 또는 옳다 그르다 이런 말을 남한테 하고 자기를 내세우고 이러는 것이 제일 문제인 것입니다. 그 다음에 또 내가 아무리 속이 상해도 내 안으로 놓고 부드럽게 얘기해 주고 부드럽게 행동을 해야만이 수없는 광년을 거치면서 나온 업식이 거기에서 녹게 되고, 관습과 업식이 다 녹아야 하늘에서 인정을 받고 해인(海印)을 받습니다. 그러니까 열쇠를 얻는다 이 소립니다. 그러니 우리가 공부해 가면서 습을 떼어 가면서 모든 거를 같이 해야 됩니다. 이 세상에 이 모습을 가지고 얼마나 살겠습니까? 얼마 안 남았습니다. 한 철 사는 기간 동안에 그거를 다 다스리지 못한다면 우리는 요다음에 또 나와서 고생을 또 해야 하니까요. 그러니까 극히 조심해야 합니다. 우리가 요다음 생에 또 나와서 고생한다는 것도 그렇지만 지금 현실에서 자기 위로는 부모와 아래로는 자식들과의 연관성을 몰라라 할 수는 없죠. 항상 이렇게 염주알 꿰여 있듯이 그렇게 꿰여 있으니까요. 그러니까 그네들을 위해서라도 그렇게 하지 말아야 한다는 얘깁니다. 빨리 성취를 해야 빨리 그네들도 따라서 성취가 됩니다.
- 이전글위대한 법이 생활 속에 있다던데... 21.10.25
- 다음글칠석과 백종을 지내는 마음가짐 21.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