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체계를 잡아서 이끌어 주지 않는지 > 길을 묻는 이에게

길을 묻는 이에게


길을 묻는 이에게는
큰스님 법문 중에서 발췌하여 답을 올립니다.

건전한 게시판 문화를 위하여 성격에 맞지 않는 게시물, 광고 등 유해성 글들은 관리자가 임의로 이동,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질문을 올리기 전에, 게시된 글들을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왜 체계를 잡아서 이끌어 주지 않는지

본문

질문

수년 동안 선원을 다니면서 공부를 해 나가고 있는데, 제가 어떤 단계에 있는지, 그리고 제가 어떻게 수행해 나가야 빨리 공부를 성취할 수 있는지 하는 것이 항상 의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유투브를 통해서 다른 스님이나 공부하시는 분들의 동영상을 보다 보니 수행의 단계를 구분해서 증표 같은 것을 주기도 하고, 어떤 단계에는 어떻게 공부해야 한다 하기도 하던데 선원에서는 왜 그렇게 체계를 잡아서 이끌어 주지 않는지요.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관리자님의 댓글

관리자 작성일

내가 말을 하면 여러분이 먹을 것이요, 여러분이 질문을 해도 내가 먹고 없는 것입니다. 함이 없이 하는 도리가 바로 이 도린가 싶습니다.

여러분 중에도 지금 이러한 도리를 공부하는 데 대해서 갈등이 있거나 방황하는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러고도 또 이건 대승(大乘)이니 소승(小乘)이니 하면서, 여기는 체계가 잡혔느니 잡히지 않았느니 하고 생각들을 하고 갈등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으리라고도 생각합니다. 아주 없다고는 생각 안 합니다. 하나 우리가 지금 여기서 배우는 것은 생활이 참선이요, 생활이 바로 진리요, 자기 마음을 탐구하는 데 대해서는 앉는 것도 서는 것도, 눕는 것도 모두가 참선이 되고 좌선(坐禪), 와선(臥禪), 입선(立禪)이 따로 없다고 생각하는 이러한 도리를 지금 배우는 겁니다. 그러기 때문에 체계가 잡히지 않은 듯하지만 일체 만법의 체계가 잡혀 있는 것이 뭐냐 하면 바로 여러분이 지금 행하고 나가는 거, 질서를 지키고 도의를 알고 의리를 알고 사랑을 알고, 이러한 전체 모든 것을 아는 것이 바로 참선이며, 진리를 그대로 탐구하고 나가는 길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대승이니 소승이니 하고 잘못됐느니 잘됐느니, 체계가 섰느니 안 섰느니 하고 그거 논의하다가는 여러분이 죽으러 가는데, 지금 관에 들어가야 할 텐데 어떻게 이것이 체계가 잡혔느니 안 잡혔느니, 대승이니 소승이니 하고 그런 거 생각하겠습니까? 지금 죽은 세상 50%를 탐구해야 사는 세상 50%를 같이 귀합을 시켜서 내가 자유롭게 살 수 있고 세세생생에 끄달림이 없이 윤회에 끄달리지 않게 될 텐데 말입니다. 그러니 인간의 참된 모습을 탐구하는 데에 지침이 될 거를 생각하면서, 지혜를 얻을 것을 약속하면서 이렇게 나가는 사람들이, 이것저것 따지다 보면 어떻게 죽은 세상에 가겠습니까? 자기 마음이 죽지 않은 이상에는 죽은 세상에 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주인공(主人空)” 하는 것을 예전에 육조(六祖) 스님은 이렇게 말씀을 하셨죠. “성품이 스스로 청정함을 내 어찌 알았으리까?” 그 마음을 말하는 거죠. “마음이 스스로 갖추어 가지고 있음을 어찌 알았으리까?” “스스로 물러나지 않는 마음을 어찌 알았으리까?” 즉, 물러서지 않는다 하는 것은 구족함을 말하는 거죠. “스스로 내 마음이 내고 들이는 것을 어찌 알았으리까?” 하는 겁니다. 일체 만법을 말입니다. 이것은 우주 천지가 인간의 마음에 직결돼 있어서 돌아가는 뜻을, 대천세계, 중천세계, 소천세계가 한꺼번에 돌아가는 이치를 다 종합한 뜻이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마음이 스스로서 직결된 거를 알고, 직결된 거를 알았으면 스스로서 자유롭게 굴릴 수 있다는 얘기죠. 지난번에도 얘기했지만 팔 법륜 마크가 그렇게 생기지 않았습니까? 사유 사무(四有四無), 사무 사유라고 해도 되고 말입니다. 바로 일체가 인간의 마음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걸 깨달으면 스스로 그렇게 청정함을 알고, 스스로 갖추어 있는 거를 알고, 스스로 그렇게 구족함을 알고, 스스로 참, 일체 만법을 들이고 내는 그 자유자재함을 자기가 알고, 스스로 그렇게 하는 거지 누가 그것을 갖다 주고 뺏어 가고 이러는 것도 아니거든요.

그런 공부 하는 데 대해서 그것이 다 포함된 것을 ‘주인공’이라고 한단 말입니다. 한마음이라는 이 부처, 부처가 없는 게 부처다 했죠. 한마음이라는 뜻은, 이것은 어떠한 대(對)가 없는 게 한마음이야. 어떠한 그 뭐가 붙지 않는 것을 한마음이라고 그러거든. 그러니 그 한마음의 도리는 돌아(원을 그려 보이시며). 한마음으로 돌아가니까 육체도 모두가 같이 돌아가는 거야, 상대로 인해서. 내가 아니라면 상대가 살 수 없고 상대가 아니라면 내가 살 수 없듯이, 모두가 이렇게 해서 한꺼번에 돌아가니까 그 돌아가는 찰나 생활이 한꺼번에 계합이 된 그 뜻을 주인공이라고 한 거라. 그러니 그 주인공은, 즉 말하자면 전체가 한데 합쳐진, 어떻게 말로 다 할 수 없으니까 전체가 합쳐진 그것을 용광로라고도 하고 자가발전소라고도 하고 여러 가지로 표현을 했습니다.

그래서 잘되고 못되는 거, 나중에 잘된다 못된다 이거는 개의치 말고 용광로에 넣기만 하는 작업을 하라 하는 것입니다. 용광로에 넣기만 하는 작업을 한다면 재생돼서 나오는 쇠는 자동적으로 스스로 나오니까. 내가 이렇게 놓는다고 해서 잘될까 못될까 이런 건 걱정하지 말아야 이게 진짜 정통으로 놔지는 거죠. 내가 이렇게 주인공에게 모든 것을 다 일임해서 놓고 난 뒤에 재차 ‘아이고, 이렇게 놓는다고 저 일이 될까?’ 이러한 생각을 한다면 그건 용광로에 정통으로 들어간 게 아닙니다. 그래서 나중에 재생돼서 나오는 거는 생각지 말고 여기 (가슴을 짚어 보이시며) 넣는 작업만 하는 겁니다.

그래서 이렇게도 표현을 했습니다. 그 아주 높은 산꼭대기, 제일 높은 데를 올라가는데 무엇을 자꾸 짊어지고 갈 바가 뭐 있습니까? 자꾸 놓고 가야지. 사람 몸뚱이 하나 올라가는 것도 무거운데 어떻게 자꾸 생기는 대로 짊어지고 가겠습니까? 그러니 올라갈 때는 다 놓고 올라가시라 이겁니다. 조금만 뭐가 보이는 게 있고 들리는 게 있고 이러면은 그냥 자만하고, 또 나쁜 게 보이고 좋은 게 보이고, 미운 게 보이고 이쁜 게 보이고, 이걸 일일이 욕심내고, 그 아집을 가지고 나라는 조건에서 영 한 발짝도 떼 놓지 못한다면 거기, 자기가 갈 수 있는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내 짐도 무거우니까, 이 몸도 공(空)해서 이것도 놓고 지금 터벅터벅 가는 바 없이 가고 있는데 자꾸 짊어질 게 뭐 있느냐는 얘깁니다.

다 놓고 가다 보면 맨 상봉 꼭대기에 올라갔을 때 비로소 모두 그 위에서 내려다보이더라 이거야. 전체를 볼 때하고 조그만 개별적인 거 볼 때하고는 전혀 다르게 보이더라 이거야. 전체가 보이는 걸 보니까 ‘아이고, 저기서 일어나는 것이 여기로 인해서 일어나고, 저기로 인해서 여기서 일어나고 이렇게 되니깐, 이쪽을 누르면 저쪽이 눌러지고 이쪽이 이렇게 자꾸 일어나니까 어떤 거를 손을 댈 게 없더라.’ 이렇게 되죠. 그래서 잘못하고 잘하고 그것이 없더라는 얘기죠. 남녀노소도 따로 없고. 무(無)의 세계, 유(有)의 세계를 다 합쳐서 보니까 그렇더라는 얘기죠. 또 동서가 둘이 아니고 남자 여자가 둘이 아니고, 대승 소승이 둘이 아니요, 어려운 사람 부자 사람 이것이 둘이 아니요, 권세 없는 사람과 권세 있는 사람과 둘이 아니요, 항상 뒤바꿔지더라 이거야. 돌아가더라 이거야. 그래서 거기서 내려올 때는, 내려올 때는 다 주워 모아서 담아도 담긴 사이가 없더라. 담긴 사이가 없으니 내려와서는 내놔도 내놓은 사이가 없이 내놔지더라.

그래서 무조건 여러분이 이 도리를 배우는 데는 천금 만금을 주고도 배우기 어려우니 지금 인연에 따라서 이렇게 배우는 것을 고맙게 생각하고 열심히 스스로 익히고 자기 것을 만들어서, 스스로 자기가 응용할 수 있는 그러한 방법과 그러한 지혜와 그러한 자비를 가지고 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얻으시라는 얘기죠.

우리가 아무리 남의 책을 보고 남의 말을 듣고 지식적으로 머리에 넣어서 그거를 때에 따라선 얘길 하고 쓴다 해도 그거는 헛거야. 그래서 우리가 경(經)을 본다 하더라도 백지를 볼 줄 알아야 글을 볼 수가 있고, 글을 볼 수 있어야 만법의 근원이 지혜롭게 그 한 글자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런 말이죠. 여북하면 ‘백’은 전체를 말하고 ‘지’는 지혜를 말한다고 하겠습니까. 글은…, 우리가 지금 ‘용’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가 ‘이렇다, 좋다’ 하는 거를 모른다면 어떻게 부처를 이루겠습니까?

하여튼 망상이라는 것도 놓고, 우정 내가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고 하는 마음도 놓고 꾸준히 물러서지 않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대로 여여하게 갖추어 가지고 있으니까, 그대로 믿으면 되는데 사생결단을 하고 ‘이놈의 게 왜 안 되나?’ 하고, 모질음을 쓰고 ‘이게 이렇게 놓으면 된다는데 왜 안 되나?’ 이러면은…, 지네가 가다가 “아이고, 다리가 저렇게 많은데 어떻게 저렇게 가나?” 하니까, 딱 서서 못 가는 거와 마찬가지로 그렇게 못 갑니다. 그러니 누구한테 탈을 합니까? 그렇게 성실하게 일러 드려도 놓지 못하고, 놨다 하더라도 또다시 ‘아이고, 이거 또….’ 하고 방방방방 뛰고, 그렇게 뛸 때에 또 놓으라고 하니까 ‘아이고, 이렇게 놓고 이렇게 놨는데도 안 된다.’ 이겁니다. 그 안 된다는 생각까지도 놔야 될 텐데 왜 그걸 놓지 못하고 애쓰십니까.

목록

대한불교조계종 한마음선원(13908) 경기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2Tel. 031-470-3100Fax. 031-470-3116
Copyright (c) 2021 HANMAUM SEONWON. All Rights Reserved.
"이 제작물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글꼴을 사용하여 디자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