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의 법칙을 벗어나려면
본문
질문
불교에서는 인과의 법칙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데 그러한 인과의 법칙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도 있겠지요?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나는 항상 그럽니다. 다른 이름을 믿고 빌고 기도하고, 또는 형상을 믿고 기도하고 그러지 말고 어느 법당엘 가든지, 강당엘 가든지 형상은 네 형상과 똑같이 둘 아니게 봐라. 그 마음이 둘 아니다. 내 형상과 둘 아니고 마음도 둘 아니고 법 또한 둘 아니다. 그러니 둥글게 내 마음과 모든 걸 한데 합쳐서 일배를 올리더라도 둥글게 일배를 지극하게 올리고, 나올 때 다시 주인공에다 맡기고 나오너라. 우리가 주인공이라고 말하는 것은, 내 몸뚱이 속에도 헤아릴 수 없는 생명들이 있죠? 시공을 초월해서 돌아가죠? 모두가 초월해서 돌아가는데 어떻게 그것을 ‘님’으로다가 하나로 붙이겠습니까? 그래서 주인공이라고, 자기 주인공입니다. 각자.
그래서 자기 님을, 즉 말하자면 과거에 수없이 살아오고 형성시킨 자기 자랑스러운 임을 ‘주님’이라고 하는 거죠, 본래는. 그런 건데 모두 기독교에서나 가톨릭교에서나, 나도 가톨릭쿄에 좀 있어 봤습니다마는 말이에요, 내가 기껏 잘못해 놓고 고해 성사 할 때는 신부님한테 가서 다 옮기고 돌아서죠. 그러곤 편안하다고 돌아서는 거예요. 나도 그래 봤으니깐요. 그게 말이나 될 법한 일입니까? 에누리가 없는 게 세상살이에요. 삶이에요, 모두가. 우연히도 없어요. 두 부부가 만나도 우연이 없어요. 이 세상에 나가 보세요. 전부 끼리끼리 놓여 있죠? 상점에도 끼리끼리 놓여 있지 뒤섞여서 있습디까?
그러니까 끼리끼리 차원대로 만나는 거죠. 그러니까 누구의 잘못도 따로 네 탓이다 내 탓이다 할 게 하나도 없다는 얘기죠. 그러니깐 내가 망해도 ‘네가 잘못해서’, 뭐, ‘재수가 없어서 안됐느니’ 이런 소린 아예 하지 마라 이 소리죠. 모두가, 모두가 자기 차원에 따라서 자기 탓이니까 자기가 아무리 잘했어도, 자기가 돈을 벌었어도, 또 망했다 하더라도 자기 탓이에요. 자기가 없다면 뭐가 있습니까? 자기가 있기 때문에 자기 탓이죠. 안 그래요?
그런데 가만히 보면 법당엘 가거나 강당에 가면 기도하면서 아휴, 그냥 ‘하느님 아버지시여!’ 또 불당에 가면 ‘아이고, 부처님이시여! 관세음보살이여! 지장보살이시여!’ 뭐, 그냥 별놈의 이름을 다 찾죠. 그러나 그게 없는 이름은 아닙니다. 다 있어요. 우리가 아파서 주인공에다 맡기면 약사가 되거든요, 약사보살. 진짜 자기가 약사보살이 돼요. 또 자기가 가난하고 어떠한 법칙에 의해서 문제가 생겨서 너무 답답할 때에 거기다 맡기면 관세음이 되죠, 관세음보살이. 명이 짧아서 어쩌나 그러고 걱정될 때는 칠성부처님한테 맡기는 게 아니라 내 주인공한테 맡기면 내 주인공으로 하여금 통신이 돼서 그 칠성부처가 책임을 맡죠. 참 묘합니다. 그러니까 칠성부처가 그 명을 다루죠.
그리고 또 누구나가 차원대로 모습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죽으면 자기가 산 대로, 행동한 대로, 말한 대로 그대로 모습이 돼서 나오거든요. 그러니까 개로 나왔다면 개 대접밖엔 못 받죠. 우리가 살아 보지 않아요? 개 새낀 개 새끼지 뭐 사람의 새끼냐 이러죠. 뱀이라면은 뱀의 대접밖엔 못 받죠. 여자는 여자대로 남자는 남자대로 대접을 받죠. 그러니까 그렇게 자기가 한 대로 조금도 어김없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 이전글가장으로서 잘하고 싶은데… 25.10.22
- 다음글일상생활이 그대로 수행이 되려면 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