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추석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본문
질문
해년마다 지내는 추석이지만 올해 추석에는 정말 많은 것을 느끼고 감사할 수 있었습니다. 무슨 특별한 것은 없지만, 제가 이렇듯 이 마음도리를 만나서 흔들림 없이 한 걸음 한 걸음 걸어갈 수 있음이 감사했고, 저를 이렇게 수승한 공부로 인도해 주신 조상님들께 또한 감사했습니다. 그런데 마음공부를 해 나가는 저희들이 어떻게 추석을 받아들여야 하고 그 뜻을 계승해 나가야 할는지요.
댓글목록
큰스님 말씀
여러분께서 8월 추석을 지내셨습니다. 8월 추석을 지내신 뜻을 우리가 한 번쯤은 음미해 봐야 한다고 봅니다. 어떤 분이든지 밥 먹지 않고 사는 사람 없고, 옷 입지 않고 사는 사람 없고, 물 안 먹고 사는 사람 없고, 불 쓰지 않고 사는 사람 없고, 땅 딛고 다니지 않는 사람 없습니다. 그리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공기를 마시지 않고 사는 사람이 하나도 없습니다. 그런고로 우리가 8월 추석이라고 하는 것은 일 년 내내 농사를 지어서 첫 곡식으로 밥을 지어 놓든 떡을 해서 놓든 무엇을 해서 놓든 일체제불의 마음과 더불어, 일체 만 중생과 더불어 같이, 이 지수화풍이나 또는 무정물이나 식물이나 모든 마음들을 한데 둥글려서 그 마음으로 깊이 그 감사함에 은혜를 갚는 것입니다. 이것을 따로따로 얘기하는 거보다도 몰아서 얘기하는 것이 간단하고 쉬울 것 같아서 이렇게 말씀드리는 겁니다.
그 마음은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 것입니다. 무한량이라면 무한량일 수 있고 작다면 바늘구멍 하나 안 들어갈 수도 있는 것이 마음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잘 생각해서 진실하게 감사함을 느낄 줄을 모두 모릅니다. 더군다나 가깝게 있을수록 더 감사함을 모릅니다. 없으면 당장에 생명을 유지 못하는데도 감사함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물 쓰는 거와 불 쓰는 거와 땅을 딛고 다니는 거와 공기를 쐬는 것에 감사함을 느껴야 할 텐데도 불구하고, 그렇게 생각을 안 합니다. 또 일체 만물을 통해서 공부를 할 수 있고 세상을 살아나갈 수 있고, 또 상대성 원리로써 개발을 할 수도 있고 창조력을 기를 수도 있고 창조를 해낼 수도 있는 그러한 모든 여건을 생각해 보지도 않고 감사할 줄도 모릅니다. 은혜를 생각할 수가 있는 사람이 몇 안 된다고 봅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이 세상은 일체 만물만생 전부가 다 흙이든지 무정물이든지 식물이든지, 지수화풍을 막론하고 더불어 모두가 평화스럽다고 했습니다. 모두가 자유스럽게 살 수 있게끔 돼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의 마음이 그렇질 못합니다. 평화스럽게 살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여여하게 살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마음들이 물질세계의 50%에만 전전긍긍하니 거기에까지 마음이 미치지 못하는 까닭입니다. 그리고 내가 산다느니 내가 했다느니 내가 말했다느니, 망한 거는 또 타의에 의해서 망했다느니, 저 사람 때문에 우리가 못살게 됐다느니 이러한 문제 등이 모두 여러분의 마음에 사무치기 때문에 밝게 내다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런 반면에 천당, 지옥이라는 것은 어디에 있는가. 여러분이 이 마음이 진정코 무서운 도리라는 것을 한번 음미해 보십시오. 일체 만물만생이 천차만별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로 낳는 거나 알로 낳는 거나, 화해서 낳는 거나 질척한 데서 낳는 거나 천차만별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무정물도 식물도 천차만별로 모습을 가지고 있고요. 그런데 그것이 어디에서부터 나오느냐. 전력이 똑같듯이 인간의 불성의 씨는 다 똑같은데도 불구하고 마음들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모습을 지어 가지고 나옵니다. 우리가 박 씨를 심었으면 박이 나죠. 박 싹이 나고 박이 또 열리죠. 그러나 마음의 불씨라는 것은, 마음의 씨라는 것은 박 씨도 아니요 사람 씨도 아니요, 이것 씨도 아니요 저것 씨도 아닌 자체의 씨인 것입니다.
여러분이 마음먹는 대로 입력이 돼서 그것이 현실로 모습을 들고 나오고, 바로 현실로 모든 생활이 주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어떻게 마음을 먹고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살아야 한다는 것을 곰곰이 생각을 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이전글양자역학과 한마음과의 상관관계 21.10.25
- 다음글한순간에 깨달을 수는 없는지요 21.10.25